장소 : 장수읍 행복나눔터 1층
안건
1. 장수군 교육기관 및 단체의 원활한 협력 방안
2. 면 단위 중학생들의 교육현황 및 개선방안 모색
3. 기타 안건

1. 교육기관 및 단체 원활한 협력 방안
- 연동 : 학교 연간 학사일정에 맞춰 행사를 연동해 진행하면 학생들의 참여가 원활할 것.
- 공유 : 개인정보 문제로 강사의 이름이나 학력 사항을 공유하기 어려운 경우, 최소한 각 기관과 단체에서 필요한 정도만 정보를 공유하자는 제안.
2. 면 단위 중학생들의 교육현황 및 개선 방안 모색
- 문제 해결 : 면 단위 학생들이 장수읍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어려워, 교통 지원 방안이 필요.
기관들은 협약을 체결해서 프로그램과 학습 지원, 교통 지원 등 세부적인 사항을 논의
- 세분화 : 개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은 지역(면)에서, 공동 교육 프로그램은 읍에서 진행하는 것을 제안.
- 단위 학생의 프로그램 접근성 : 좋은 프로그램들이 장수읍에 있으나, 교통 불편으로 면지역 학생들이 참여하기 어려운 상황을 해결해야 함.
- 프로그램 운영 : 청소년문화의 집에서 예전에 찾아가는 프로그램을 운영 했으며, 작년에는 작은도서관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진행.
- 조율 필요 : 지역아동센터와의 프로그램 조율 필요성 제기.
- 프로그램 : 면 단위 날을 정해 해당 면 학생들을 초대하는 프로그램 진행 중 (예: '계북데이').
- 역할 : 지역 단체들은 아이들이 하고 싶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
- 지원하는 지원금 : 애향재단의 지원금이 재개되길 기대.
- 간 협력 : 달빛, 청소년문화의집, 나다 등 직접집행 단체들이 협력하여 프로그램 지원 논의.
- 단위 청소년 공간 필요성 : 면 단위 학생들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공간과 상시 멘토링을 받을 수 있는 공간 필요.
- 역할 전환 : 작은도서관이 새로운 역할을 수행할 필요성 제기.
- 중학생 학습프로그램 : 하교 후에도 중학생들을 위한 학습 프로그램 필요.
- 돌봄센터 확대 : 중학생까지 돌봄센터 서비스를 확대할 필요.
- 인원 기준 완화 : 면 단위 인원수가 적어 프로그램 진행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현실적인 인원 기준 필요.
- 소통과 홍보는 밴드 플랫폼을 통해 진행하고, 단톡방에서는 알림만 간단히 전달하는 방안을 제안.
3. 기타 안건
- 문해력 강화 : 유년기부터 문해력을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 필요. 전문가 초빙을 통해 역량 강화 가능성 검토.
- 강사 과정 : 내년에는 교육기관 및 단체 담당자들이 문해력 강사 과정을 배울 수 있도록 추진 계획.